티스토리 뷰
주택 취등록세 계산기 사용안내
이번에 포스팅해볼 주제는 부동산을 구입을 하실때에 신경을 쓰셔야해드려 보고 있는 부분인 취득세와 등록세에 대해서 안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의 가격이 굉장히 큰 금액이기도 해서 이에 따른 세금들 물론 굉장히 비중이 큽니다.
그렇기에 주택을 구입을 고려하시다면 함께서 고려를 해보셔야하고있는 부분들이 바로 취등록세와 부동산중개수수료겠죠. 이번엔 주택 취등록세 계산기를 사용해보는 방법에 대하여 안내를 해둘게요.
아무래도 세금계산은 정말 복잡하고 머리가 아프기도 해요. 그래서 이번엔 오토로 계산을 해주시는 계산기를 사용을 해서 확인을 해보는 법으로 안내해 드려 볼겁니다.
아래 준비해드린 바로가기를 눌러 보신 후에 상단에보여 지시는 홈페이지로 이동후 '취득세'를 눌러 주셔도 됩니다. 옆에는 중개보수도 있어서 함께 계산하셔도 좋게네요.
그렇게 하면 이렇게 바로 계산기가 실행되게 되시런데요. 여기에서 아파트 선택은 꼭 해주지 않아도 되는데요. 거래가격만 입력한다면 된답니다. 또한 보유주택수도 입력을 하고 전용면적도 입력해주시기바랍니다.
저는 그럼 임의로 약 3억5천만원의 85m2 이하인 84m2로 계산을 해보려 합니다. 전용면적에 따라 세율이 확연하게 달리 되어지게 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근래 아파트들은 84m2 형태로 나오도록 되어지죠.
이런 방법으로 계산을 해 보니 약 3억5천만원의 84m2 라고 하면 세금이 약 385만원 정도 나오도록 되어지네요. 이곳서 85m2이상이었다면 농어촌 특별세가 부과가 되시기도 하답니다.
세율을 한번 살펴보도록 할까요? 상단에보이시는 표를 기반으로 하며 안내해드린 주택 취등록세 계산기가 동작을 해보시게되는거에요. 오늘 소개를 해드린 내용 방문해 주신 분들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저는 이제 그만 물러 가도록 할게요.